심혈관질환
숨이차요
강원대학교병원
류동열
심혈관질환
강원대학교병원
류동열
‘숨이치다’는 것은 숨을 쉬는데 힘을 쓰거나, 고통을 느끼는 것을 말하며 흔히 ‘호흡곤란’이라고 말한다.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호흡기질환 외에도 심장 질환, 갑상선 질환, 빈혈, 비만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전 및 허혈성 심질환은 호흡곤란을 증상으로 하는 중요한 질환으로 빠른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장애로 신체 조직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여 발생하는데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고혈압, 심장판막질환, 과도한 음주, 스트레스 등 매우 다양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허혈성 심질환으로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이다.
심부전 및 허혈성 심질환은 빨리 진단하여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질병 초기에 증상이 발생하였을 때 빠르게 심부전 및 허혈성 심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초기에는 육체적으로 힘든 일이나 운동시 발생한다.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점점 가벼운 운동에서도 발생하며 심해지면 휴식 시에도 발생하고 특히, 밤에 잘 때 더 심하여 똑바로 누워서는 숨이 차서 잘 수 없을 정도로 진행된다. 초기 심부전일 때는 대부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자각하지 못해서 치료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가 늦어지기 쉽다. 그러므로 평소에 하던 일에서 호흡곤란이 없었으나 최근 호흡곤란이 발생하게 되면 심부전 초기나, 허혈성 심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은 흔히 가슴통증을 동반하는데 고령, 당뇨 환자에서는 가슴통증 없이 호흡곤란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은 부종을 흔히 동반하는데 손, 발 및 전신 부종이 동반된 호흡곤란이 발생하였다면 심부전을 의심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전에 일상생활에서 발생하지 않던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지 말고, 가슴통증이 없어도 심장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일 수 있다. 특히 겨울철 호흡곤란이 악화되면 감기라고 가볍게 여기지 말고 심부전이나 허혈성 심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흡곤란으로 내원하면 급성 호흡곤란과 만성 호흡곤란으로 분류되며 급성 호흡곤란은 갑자기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병원을 방문하게 된다. 급성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을 방문하면 상기도 폐쇄, 기흉이나 폐좌상, 과호흡증후군, 폐렴, 폐부종, 폐색전증, 기흉,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등 많은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만성 호흡곤란은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폐렴, 간질성 폐 질환, 흉막 질환,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 빈혈 등을 감별해야 한다.
심부전이나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은 대부분 만성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지만 심근경색을 포함한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경우는 가슴통증을 동반하면서 급성 호홉곤란을 호소할 수 있다.
호흡기질환(폐질환)과 심장질환이 호흡곤란의 대부분의 원인이며 때로는 심폐질환이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호흡기질환으로는 폐렴,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이 흔하다.
폐렴는 세균이나 바아러스 등에 의한 폐의 감염으로 이전에 없던 발열, 객담, 기침이 발생하며 흉부엑스선검사, 가래를 통한 원인균 배양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흡연, 유해한 입자나 가스에 의한 지속적인 폐의 염증 반응으로 발생하며 만성 기침 및 객담이 동반되며 심장질환이 동반되어 있지 않으며 초기에는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심장이 정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천식은 기관지가 예민해져 있는 상태로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가족력이나, 이전에 천식병력이 있는 경우가 흔하며 천명음(쌕쌕거리는 거친 숨소리)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심부전증에 의한 흉부의 울혈증상도 기도폐쇄 경우와 같이 천명음이 들려 기관지천식과 감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대부분 심장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은 심전도, 흉부엑스선검사, 말초혈액검사(이중B type naturetic peptide, BNP)으로 호흡기질환과 감별이 가능하며, 정확한 원인을 감별하기 위하여 심장 초음파 검사, 운동 부하 검사, 관상 동맥 조영술, 컴퓨터단층촬영 이 필요하다.